Green Closet은 사람들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옷을 기부할 수 있는 더 쉬운 접근성을 제공합니다. 그 기부금은 재활용되어 Green Closet에서 후원하는 의류 브랜드로 전달될 것입니다. 그 재료는
후원자들로부터 재사용될 것입니다.
기부금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옷들은 재료들을 확인하기 위해
테라헤르츠 방사선에 의해 스캔될 것입니다.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함 뿐만이 아니라 자동판매기에 있는 재료들 별로 기부금을 정리하기
위해 옷들은 스캔될 것입니다.
사용자가 옷을 기증함에 따라, 그들은 Green Closet과 함께 후원된 회사들로부터 받은 프로모션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사용자는
다음 번에 옷을 구매할 때 후원된 옷 브랜드의 프로모션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패스트 패션(Fast Fashion)은 새로운 트렌드를 충족시키기 위해 옷을 디자인, 제조 및 마케팅하는 빠른 단계를
설명하는 용어입니다. 그들은 패션 위크(Fashion Week) 행사를 기반으로 옷을 복제하고 고객들이 옷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을 합니다.
매년 평균 소비자가 구매하는
의류 수의 60% 증가
의류의 거의 60%는 생산 후 1년 이내에
매립 또는 소각 처리됩니다
2000년에서 2020년 사이에 만들어진 옷의 수는 1,000억 개로 두 배로 증가했습니다.
옷의 생산량이 증가하는 것을 시각화해서 보기 위해 BOT 그래프를 사용했습니다. 이것은 20년 안에 옷이 얼마나 빨리 생산되고 있는지에 대한 패턴의 개요를 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CO2e는 2015년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생산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지구 온난화에 상응하는 영향을 미칠 이산화탄소의 양입니다.
폴리에스터 단품 티셔츠 1매
싱글 면 티셔츠
타겟 오디언스의 니즈를 이해하기 위해 저는 3명의 다른 페르소나를 정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저는 어머니, 운전자 및 회사 마케팅 팀의 관점을 보았습니다. 페르소나는 잠재력 있는 기회를 가능한 솔루션을
좁혀 볼 수 있게 도와줄 것 입니다.
Information Architecture는 사용자가 자판기를 통해 접근할 화면들을 알아보기위해 사용됩니다. 이것은 기계를 통해서 기부를 하기위해 어떤 화면과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합니다.
필요한 정보를 정리하기 위해 텍소노미 맵을 사용하여 옷의 기부와 포인트에 대한 몇 가지 주제를 자세히 살펴보기로
결정했습니다. 옷의 재료와 프로모션을 제공하는 방법을 어떻게 분류할지 계획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에코시스템 지도는 기부자와 자판기를 둘러싼 시스템을 시각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 전체를 이해하고 서로 간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저는 데이터베이스를 시각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데이터 모델을 만들었습니다. 제품에 대한 데이터를 분류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해 관계자와 엔지니어가 데이터 개발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정의된 페르소나 안에서, 저는 자판기의 사용자가 될 저의 첫 번째 페르소나를 기반으로 사용자 여정 지도를 만들었습니다.
이 지도는 사용자가 각 단계에서 겪을 가능성 있는 여정의 전체적인 전망을 제공하고, 경험을 더 발전시킬수 있는 몇 가지 기회를
찾게 도와줄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그 여정을 설계하기 위해 전체 과정을 확인하는 간단한 유저플로우를 만들기로
결정했습니다. 여정을 계획하고 구성하고 평가하며 페르소나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플로우를 만드는 데 사용했습니다.
스토리보드는 제품을 바탕으로 스토리와 장면을 기획할 때 유용합니다. 이를 위해 자판기를 활용하는 3명의 페르소나의 스토리보드를 3장 그려보았습니다. 이를 통해 제품이 사용되는 여러 시나리오를 기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컨셉에 대해 이해관계자와 소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자동판매기는 T-ray라고도 불리는 테라헤르츠 방사선을 사용하여 직물을 스캔하고 기부한 옷들을
재료 종류로 분류합니다.
물체를 통해
관통합니다
여러 종류의 재료를
식별하다
테라헤르츠파 안의 T-ray는 원자에서 전자를 제거할 만큼 충분한 에너지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이것은 방사선이 인간의 조직과 DNA에 같은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방사선은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어느 사용자에게도 안전할 것입니다.
이 방사선은 현재 전신 스캔을 위해 공항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스톡 앤 플로우 다이어그램은 시스템이 구축되고 작동하는 구조를 묘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다이어그램은
기부 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의 인과 구조를 알 수 있게 해줍니다.
피드백 루프 다이어그램은 제품의 시스템이 어떻게 기능을 유지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균형 잡힌 루프와 강화된
루프를 보여줍니다. 다이어그램은 우리가 지속적으로 자극에 영향을 받는 출력의 주기를 계획하고 시각화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더 강력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도 도움을 줍니다.
우리가 기부자들로부터 받는 물품들은 Green Closet으로 가고, 그 물품들은 후원을 받는 회사들에게 팔립니다. Green Closet은 후원을 받는 회사들이 그들이 필요한 직물을 가져가기 위해
주는 돈으로부터 이익을 얻습니다.
Green Closet은 친근하고, 안전하고, 친환경적입니다. 제품이 친환경적이라고 홍보하기 때문에, 저는 사용자들에게 접근 가능하고 친근한 느낌을 주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브랜드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열려 있고, 모든 사람이 친환경적인 순환의 일부가 될 수 있는 것처럼 느껴져야 합니다.
친환경적인 느낌을 주기 위해 친근함을 상징하는 나뭇잎 아이콘을 사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로고에 상징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이미지의 균형을 유지하고 신뢰할 수 있는 느낌이 나도록 글씨가 단순하기를 원했습니다.
친근하고 접근하기 쉽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초록색을 사용했습니다.
스케치와 목업을 하면서 기계 안에 들어갈 부품들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그런 기계적인 부분에 전문가는 아니지만, 자동판매기 안에는 티레이 방사선을 위한 공간과 옷을 보관할 공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아야 했습니다.
Green Closet은 고객과 비즈니스의 양면성을 배울 수 있었던 프로젝트입니다. 시스템 매핑을 통해 시스템이 비즈니스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생각하고 수익을 얻는 순환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고객과 비즈니스 측면의 아이디어를 계획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것은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이었습니다. 나는 사용자들이 자판기를 사용하는 여러 시나리오를 생각해야 했고, 이를 통해 제품에 접근할 때 필요한 그들의 니즈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들이 왜 내 제품을 사용하는지를 아는 것도 내가 분명히 해야 하는 과정 중 하나였습니다. 또한 의류의 재활용 체계 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후원 회사의 관점도 이해하여야 했습니다. 비록 초반에는 비즈니스 측면에서 수익 시스템을 배우는 데 약간의 어려움이 있었지만, 저는 여전히 새로운 관점을 보기위해 스스로를 밀어붙였던 것이 매우 즐거웠습니다.
시간이 좀 더 주어진다면 자판기의 인터페이스 디테일을 디자인하여 프로젝트를 지속하고 싶습니다. 완한 전체 경험을 만들기 위해서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 상호 작용도 큰 역할을 합니다. 인터뷰 대상자와 함께 테스트를 하며 우리 주변에서 활용할 수 있는 보다 현실적인 디자인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입니다.
If you like what you see and want to work together, get in touch!
kminjiwork@gmail.com